학생작품전
전국 건축관련학과 학생(학부, 대학원)을 대상으로 건축설계작품을 공모하여 예비심사 및 본심사를 거쳐 선정된 총 87점의 작품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여 전시됩니다.
- 전시일시 : 2023년 10월 25일(수)∼27일(금)
- 전시장소 : 하이원 그랜드호텔 컨벤션타워 5층 컨벤션홀 + 온라인(홈페이지)
- 주최 : (사)대한건축학회
- 주관 : (사)대한건축학회 건축대전위원회, 학생작품전분과위원회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도서출판 기문당
전시 및 수상목록 (수상별 성명 가나다순)
수상 | 작품명 | 수상자(소속) |
---|---|---|
대상 | HYPER NODE : 기존 도심 철도 기반 차량기지를 활용한 물류 인프라 | 한나라(숙명여자대학교) |
최우수상 | Amusement City | 권소현(단국대학교) |
최우수상 | Linkscape; Creation of a collaborative society | 김은지(강원대학교(춘천)) |
최우수상 | Buan Rice Town | 김지우(경희대학교) |
최우수상 | In-Ontact | 김지희(명지대학교) |
최우수상 | Flat Ontology | 박세진(한양대학교(ERICA)) |
최우수상 | OUTBREAK | 임지희(광운대학교) |
최우수상 | Architectural Borderwall in the U.S.-Mexico | 정은미(한양대학교(서울)) |
최우수상 | NO. 0042 | 천지현(인천대학교) |
최우수상 | LAPUTA [라퓨타] | 최진규(명지대학교) |
우수상 | La Carrière No.7 | 강민정(아주대학교) |
우수상 | Repair of Nanjido (난지도의 공간 환원을 위한 건축계획) | 고은리(한양대학교(서울)) |
우수상 | 남북 공동의 R&D 플랫폼 | 권하은(강원대학교(삼척)) |
우수상 | humany- : 예술심리치료센터 및 연구소 | 권효정(금오공과대학교) |
우수상 | GWANGHWAMUN DISCOURSE CLOUD (광화문 담론 클라우드) | 김나경(한국교통대학교) |
우수상 | STAY CLOSE | 김덕중(호서대학교) |
우수상 | Urban Path _ 을지로 유산의 보존 | 김민규(홍익대학교(세종)) |
우수상 | Urban Archaeology | 김민재(세종대학교) |
우수상 | 프레임_영화속으로 | 김민지(동아대학교) |
우수상 | Nature in the GYM | 김성태(경동대학교) |
우수상 | Let's go LEGO! | 김소영(세종대학교) |
우수상 | Free Willy | 김수민(순천대학교) |
우수상 | Mutated Eco Block | 김시오(건국대학교) |
우수상 | 한글을 건축하다_한글 건축 해례 | 김어진(전남대학교(광주)) |
우수상 | Gradient Architure | 김주영(청주대학교) |
우수상 | BLANK LANDMARK | 김준성(홍익대학교) |
우수상 | Unflatten Block | 김지연(울산대학교) |
우수상 | Timeless Hotel : Technological Design Methodology | 김진솔(한국예술종합학교) |
우수상 | Coexist-Stance | 김현진(창원대학교) |
우수상 | Senior, Walk on future | 김희진(선문대학교) |
우수상 | Eco Gardens by the Lake | 맹희선(아주대학교) |
우수상 | VERTIPORT : New Urban Intersection [도심 사거리형 버티포트] | 문채원(경희대학교) |
우수상 | Aesop Hotel in Jeju | 박소윤(명지대학교) |
우수상 | 사이공간 관계 설정을 통한 새로운 주거 타입폴로지 제안 | 박종찬(고려대학교) |
우수상 | HB : Healing Boundary 119 | 박하비(경상국립대학교(칠암)) |
우수상 | 여백의 휴식 ; 모두를 위한 K-체험공간과 K-사우나 | 선민우(경동대학교) |
우수상 | Happy Torium | 성지호(배재대학교) |
우수상 | 섬, 삶 | 성희용(서원대학교) |
우수상 | 회복 - [인왕시장 : 다시금 북적이는 시장으로 사람과 경제를 회복시킨다.] | 송영호(인천가톨릭대학교) |
우수상 | Show Arko | 신소희(인천대학교) |
우수상 | Sewoon Creation Town | 안지윤(건국대학교) |
우수상 | Senior Based Library/공평한 감각의 도서관 | 안희주(울산대학교) |
우수상 | VITALISM + COMPLEX, URBANISM | 양예지(전남대학교(광주)) |
우수상 | 피어나 | 양은정(인덕대학교) |
우수상 | 마당극 특화 참여형 국악당 | 오승예(한양대학교) |
우수상 | Urban Plateau_지역시장과 버스터미널의 nexus | 오재혁(홍익대학교(세종)) |
우수상 | Urban Rainforest_도시홍수 저감 주거단지 계획 | 원준석(서울시립대학교) |
우수상 | 순환방주_복합문화시설 및 지역의 아카이브가 된 우수장 | 유승권(가톨릭관동대학교) |
우수상 | Changsin-dong Village Theater | 유채림(호서대학교) |
우수상 | 바다의 그'곳' | 유한선(가톨릭관동대학교) |
우수상 | 도시 친화형 마이크로 풀필먼트 복합센터 | 유혜민(한양대학교) |
우수상 | GREY to BLUE to GREEN | 이동휘(중앙대학교) |
우수상 | happy RE: birth day | 이송미(창원대학교) |
우수상 | Co2-CLOUD | 이승연(전남대학교(여수)) |
우수상 | 걸을까요? (화양초등학교 리노베이션 프로젝트) | 이준식(숭실대학교) |
우수상 | Hydro-Convergence | 이지민(이화여자대학교) |
우수상 | 재唻시장 ; 노래가 들려오는 시장 | 이지원(인천대학교) |
우수상 | For Sustainable Public Health | 이현엽(남서울대학교) |
우수상 | 예술접속단지 | 이혜림(선문대학교) |
우수상 | OPENNESS | 임준구(인덕대학교) |
우수상 | Outffice | 장대희(신라대학교) |
우수상 | Poetics of Tectonic | 장호준(연세대학교) |
우수상 | Green Community Village | 정민기(고려대학교) |
우수상 | 함께 와유 ( 臥遊 ) _ 전통공간에 담은 노유자복합시설 제안 | 정민하(명지대학교) |
우수상 | 마을과 학교 사이, 경계를 허물다. | 정상영(경남대학교) |
우수상 | 수목원자력발전소 | 정성찬(순천대학교) |
우수상 | 섬, 물 그리고 소금 | 정유경(한양대학교(ERICA)) |
우수상 | Buffering;주거성을 부여한 초등학교 리모델링 | 정하은(제주대학교) |
우수상 | 공공정화구역 | 조영우(강원대학교(춘천)) |
우수상 | Urban Purifier | 조예진(홍익대학교) |
우수상 | BE(非) : 일상 _일상의 공간, 비일상으로의 전환을 통해 치유하다 | 조원지(숭실대학교) |
우수상 | Re-Opening ARKO | 조충환(인천대학교) |
우수상 | 다시 상서[瑞]롭다 | 조해진(충북대학교) |
우수상 | Chang-sin : STYLES | 조현우(단국대학교) |
우수상 | FLOW_흐르는 광주 문화 역사 | 진수림(호남대학교) |
우수상 | Parallel of Horizontal and Vertical | 쩌우톈(부산대학교) |
우수상 | HISTOROUND | 최민정(서울과학기술대학교) |
우수상 | 모방 그리고 대체 (Mimic & Replace) | 최선우(광운대학교) |
우수상 | 산 자와 죽은 자의 새로운 연결에 대하여 | 최웅재(청주대학교) |
우수상 | 부유자의 질서 : 공익과 사익의 공존, 도시조직과 공공건축의 재구성 | 하시온(부경대학교) |
우수상 | MUSINSA RUN'A'WAY | 하용빈(인천가톨릭대학교) |
우수상 | STREAMING ART GROUND | 한예진(홍익대학교) |
우수상 | let’s make geometry | 허해인(한국예술종합학교) |
우수상 | NEST_풍납토성과 정주 주민의 공존 | 현은빈(서울시립대학교) |
우수상 | Connecting Gate | 홍석민(부산대학교) |
우수상 | LINK_도시의 '틈'을 연결하다 | 홍유리(한국교통대학교) |
우수상 | koreanisch [한국적] _ 정체성의 재해석 : 주미 대한민국 대사관 | 황혜선(명지대학교) |
시상
- 대상 : 1작품(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최우수상 : 9작품, 우수상 : 다수(이상 대한건축학회장상)
- 상금 및 부상
- 대상 : 상금 1백만원
- 수상자 전원 : 학회 정회원 가입 시 1년 연회비면제(회원 가입 시 입회비 본인 부담),
회원의 경우 차년도(2025년) 회비부터 면제 가능
※ 대상에게 지급되는 상금은 우리나라 건축교육에 유익하기를 희망하며, 어머니 정순영님을 기리어 이우동, 김희숙님이 기부해 주셨습니다.
※ 시상 후에도 결격사유 발생 시 수상작은 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