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술대전
대한민국 건축산업의 발전을 선도한 기업의 축적된 기술 등 우수한 건축기술의 전시를 통해 소개하고 홍보하였습니다.
행사개요
- 전시일시 : 2023년 10월 25일(수) ~ 27일(금)
- 전시장소 : 하이원 그랜드호텔 컨벤션타워 5층 컨벤션홀 + 온라인(홈페이지)
- 전시내용 : 총 15개 참가회사 중 12개의 작품전시
전시목록 (참가단체명 가나다순)
참가단체명 |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
---|---|
패널 | 스마트업 지식산업센터 |
대표자 | 왕정한, 이상포 |
기업소개 | ㈜건축사사무소 아라그룹은 건축설계, 감리, 건설사업관리(CM)를 주요업무로 하며, 우수한 디자이너와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복합시설, 산업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의 설계, 감리, 건설사업관리(CM)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동안 축적된 기술과 경험으로 건축주의 가치를 높이고, 경쟁력을 키워 나갈 것입니다. |
홈페이지 | http://www.aragroup.co.kr |
참가단체명 | 계룡건설산업㈜ |
---|---|
패널 | 평택 평화예술의전당 |
대표자 | 윤길호 |
기업소개 | 1970년 계룡건설 합자회사로 첫 걸음을 뗀 계룡은 엄격한 기준이 요구되는 공공건축 분야에서도 수년째 수주실적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50여년간 시대를 앞서 이끌어온 저력을 바탕으로 건축과 토목, 주택은 물론 유통과 레저사업에 이르기까지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를 기반으로 꾸준히 쌓아 올린 실력을 발판 삼아 전국과 전세계로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s://www.krcon.co.kr |
참가단체명 | ㈜대성구조이앤씨 |
---|---|
패널 | 양산 복합문화학습관 / 부산 패션비즈센터 / 당감동 복합 국민체욱센터 |
대표자 | 손철완 |
기업소개 | 2000년에 설립된 대성구조이앤씨는 건축기술사사무소로 안전진단전문기관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구조설계, 구조물 안전진단, 시설물유지관리 등을 업종으로 하여 구조설계, 도면 작성, 구조감리, 안전진단, 보수공사, 리모델링 공사 등 다양한 업역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 - |
참가단체명 | ㈜디엔비건축사사무소 |
---|---|
패널 | 조치원 복합커뮤니티센터 |
대표자 | 조도연 |
기업소개 | ㈜디엔비건축사사무소는 1999년 설립 이후, 초, 중, 고교 및 대학시설 디자인 공모의 성공적인 수행으로 차별화된 디자인과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교육시설 분야에 전문화된 건축사사사무소로 성장했다. 혁신적이며 합리적인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공간 가치를 창조하는 뉴 프런티어(New Frontier)그룹 정신으로 모든 사용자가 만족하는 성공적인 건축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20여 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건설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튼튼한 기업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
홈페이지 | http://www.dnbarch.co.kr |
참가단체명 | 디엘이앤씨㈜ |
---|---|
패널 | PT 하중전이공법 / 고기능성 외벽도료 |
대표자 | 마창민 |
기업소개 | 1939년 대한민국 최초의 건설사로 문을 연 DL E&C는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앞선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으로 신뢰와 인정을 받고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 아파트 브랜드 시대를 열고 세계가 인정하는 독자기술로 세상에 없던 길을 연결하고 고객의 니즈에 맞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주택, 토목 및 플랜트 사업을 주력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최초의 주거 브랜드인 e편한세상과 하이엔드 주거문화를 선도하는 ACRO 브랜드에 기반한 안정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프라 디벨로퍼로서 도로/교량, 철도/지하철, 댐/하천/항만, 환경/신재생 등의 분야에서 풍요로운 삶의 가치를 제공하고자 하며, 반세기 경험과 기술을 통하여 변화하는 플랜트 시장을 선도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www.dlenc.co.kr |
참가단체명 | 반석기초이앤씨㈜ |
---|---|
패널 | 재난안전신기술 지오콘 공법 |
대표자 | 문형록 |
기업소개 | “모든 기초의 해결사”를 모토로 2006년 설립 이후 반석기초이앤씨는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해외 선진기술도입을 토대로 신기술 2건, 특허 26건, 디자인등록 11건, 상표등록 23건을 획득하고 특화된 기술을 토대로 대한민국 건물기초 전문회사로 꾸준히 성장해 온 기업입니다. |
홈페이지 | http://www.bs-base.co.kr/main/ |
참가단체명 | ㈜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
---|---|
패널 | Creative Management SAMOOCM |
대표자 | 허인 |
기업소개 | 1976년 설립 이후, 47년간 축적된 삼우씨엠의 노하우는 다양한 성공사업 수행과 건설산업 전 분야에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밑거름이 되었으며, '고객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끊임없는 혁신을 지속한 결과, 2021년 CM능력평가공시 1위, 2023년 스마트CM대상을 수상하며 국내 최고 건설사업관리 기업으로 당당히 자리했습니다. 삼우씨엠은 창의적 디자인의 건축설계는 물론 건설사업관리, 개발, 인프라, 하이테크, 친환경, BIM 등 건설 관련 Total Service를 제공하며, Modular, 데이터센터 등 시대 흐름에 맞는 스마트 건축을 향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100여 건이 넘는 재건축·재개발 유사실적을 바탕으로 정비사업추진위원회를 적극 지원, 조합 이익을 극대화하며 정비사업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s://www.samoocm.com/ |
참가단체명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국제저널(IJUS) |
---|---|
패널 |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
편집위원장 | 박동주 |
기업소개 | IJUS(도시과학국제저널)는 국토·도시분야 아시아 유일 SSCI 등재지로, 도시 및 지역계획, 교통, 도시경제, 환경 및 지리 등 다양한 도시과학 분야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1997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창간하여, 현재는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와 공동으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출판사인 라우트리지(Routledge)를 통해 연 4회 발간되며 수시로 투고 가능한 일반 논문 이외에 비정기적으로 스페셜이슈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2개의 스페셜이슈 “1) Sustainability in Real Estate, 2) Heritage and Sustainability in Urban Environments” 논문을 모집하고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s://www.tandfonline.com/rjus |
참가단체명 | ㈜아이티엠건축사사무소 |
---|---|
패널 | itm의 스마트CM기술 |
대표자 | 임재춘 |
기업소개 | 아이티엠이 가장 귀하게 여기는 자산은 사람입니다. 1993년 설계, 감리(CM)전문회사로 설립된 이래로 국내 건축CM의 초석을 다지며,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에 힘썼으며 이후 건설 관련 전 분야에 걸친 전문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엔지니어링 회사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아이티엠은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최적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건축설계: 혁신적인 디자인과 지속성장으로 다양한 분야의 사업 수행 [2] 건설사업관리: 500여건 이상의 건설사업관리 실적, 폭넓은 기술력과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다수의 초대형 프로젝트 수행 [3] 도시재생·VE: 지속적인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수주, 인증된 VE 기술력 |
홈페이지 | http://www.itm.co.kr |
참가단체명 | ㈜에스엠구조 |
---|---|
패널 | - |
대표자 | 이호상, 권지은 |
기업소개 | 건축물 구조계산 및 구조감리, 내진성능평가 및 안전진단, 신축공사 안전점검 및 3종시설물 안전점검, 건축물관리점검 등 건축물의 신축 및 유지관리시 필요한 구조안전에 관련된 가종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업입니다. |
홈페이지 | - |
참가단체명 | ㈜우성이앤씨 |
---|---|
패널 | - |
대표자 | 전찬목, 김희년, 남왕교 |
기업소개 | ㈜우성이앤씨는 우수 기술인력과 최첨단 진단장비를 보유하고 건축물 구조설계 및 정밀안전진단을 전문으로 실시하는 정부공인 안전진단 전문기관입니다. 경주, 포항 지진피해와 같은 대형 재해와 각종건설 재난으로부터 귀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불안 및 경제발전에 저해되는 불안전 요인을 사전에 발견하여 근본적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건축물 구조설계 및 정밀안전진단 분야에 많은 경력을 보유한 인력과 최신 장비로 효과적인 점검을 통하여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
홈페이지 | - |
참가단체명 | ㈜직스테크놀로지 |
---|---|
패널 | 직스캐드, 압도적인 기술력을 갖춘 프리미엄 캐드 |
대표자 | 엄신조, 최종복 |
기업소개 | 직스테크놀로지는 인공지능 기반의 DX플랫폼 기업으로 기술 혁신형 중소기업(이노비즈), 서울시 우수 기업 브랜드(하이서울)기업입니다. 직스테크놀로지는 강력한 성능과 경쟁력 있는 비용 절감 효과를 자랑하는 직스캐드(ZYXCAD)를 기반으로 건설제조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디자인 플랫폼(DP)와 디지털 전환 솔루션(DT), 디지털경험 서비스(DX)를 제공합니다. 한편, 직스캐드는 2022년도에 GS인증을 취득해 2023년 4월 조달등록을 완료했습니다. |
홈페이지 | http://www.zyx.co.kr |
참가단체명 | 초융합건설포렌식연구센터 |
---|---|
패널 | 초융합 건설 포렌식 플랫폼(ƒ-PHI) 개발 및 연구센터 성과 |
대표자 | 이종섭 |
기업소개 |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는 재난 및 재해를 대비해 상·하부 및 물환경 인프라 전체를 초융합하는 통합기술로써 ‘초융합 건설 포렌식 플랫폼’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미래형 인프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연구 목표입니다. 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사업(Engineering Research Center)의 지원을 받아 2021년 6월부터 6년 9개월간 총 182.6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될 계획입니다. 현재 고려대학교(주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경북대학교 총 4개 기관 100여 명의 연구진이 3차년도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초융합 건설 포렌식 연구센터는 인프라 관련 재난 예측을 위한 사전탐지에서부터 정밀진단에 의한 사후 감식, 재난 재현 및 역추적 기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및 보강 기술, 그리고 인프라의 성능 향상 기술까지 포함된 전방위적 안전 및 유지관리의 의미로 “건설 포렌식”을 정의하여 달성하고자 합니다. |
홈페이지 | http://fphi.korea.ac.kr |
참가단체명 | 케이에스티이엔씨㈜ |
---|---|
패널 | - |
대표자 | 박상태 |
기업소개 | 케이에스티이엔씨(주)는 기존 시설물의 내진보강기술 연구개발 및 내진성능평가, 내진보강설계, 내진보강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구조 TOTAL ENGINEERING 기업입니다. 21세기 국내외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진에 대비하여 구조물의 내진보강 기술개발에 다양한 비전을 제시합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특허공법으로 기존 시설물들의 안전성, 경제성, 시공성, 사용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저희 케이에스티이엔씨(주)는 생명을 보호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대한민국의 모든 곳이 지진재해로부터 안전한 그날까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홈페이지 | http://www.kstenc.com |
참가단체명 | 한양대에리카 지속가능스마트시티연구센터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융합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
---|---|
패널 | 탄소중립건축인증(ZCB) |
대표자 | 태성호 |
기업소개 | 한양대학교 에리카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연구센터(SUSC)는 도시의 교통·인프라·에너지/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통신·데이터 기반의 도시 운영 체계를 융합하여 지구환경을 보존하면서 인간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미래 지향적 첨단 도시를 지향하고 있으며 기존의 건설 기술을 발전시킴과 동시에 스마트시티 분야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융·복합 연구 시스템 구축 중에 있습니다. 특히 2023년 9월 1일 건물부문 탄소중립을 위한 탄소중립건축인증(ZCB, Zero Carbon Building)을 국내 최초로 시행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나아가 탄소중립 도시(City) 운영 체계 수립을 위하여 「산학연계 연구, 융·복합 공동연구, 국제화 혁신연구의 실현」을 최종 목표로 설정하여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연구센터를 스마트시티 분야 기술교류의 메카로서 연구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연구분야를 선도하고자 합니다. |
홈페이지 | http://www.susc.co.kr/ |